본문 바로가기
금융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자격 요건 및 모든 정보를 간략히 파악해보세요.

by 하소업피츠 2023. 10. 26.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대한민국에서 청년들의 취업을 촉진하고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부 지원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청년들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그 혜택과 신청 방법, 그리고 중소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내일채움공제는 현재 미취업 상태에 있는 청년들을 중소기업에 취업시키고 장기적인 고용을 유도하기 위한 정부 정책입니다. 

이 정책에 따르면,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및 건설업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이 매월 400만원을 2년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각각 400만원을 공동으로 적립하여 만기에는 총 1,20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는 2016년 7월에 시작되어 3년간 운영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신규 가입이 중단되었습니다.

 

지원대상

  1. 청년: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및 건설업종 중소기업에서 정규직으로 고용된 청년입니다
    군 경력자의 경우 복무 기간에 비례하여 참여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며, 최대 연령은 39세까지로 제한됩니다.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인 청년입니다
  2. 기업: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및 건설업종 중소기업
    임금체불 사업주, 중대산업재해 공표 사업장 등 특정 사유가 해당되지 않는 기업
    지원 내용




 

지원내용

청년 적립금 혜택 요약:

적립금

청년이 2년간 4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와 기업이 각각 400만원을 공동으로 적립합니다.

만기 공제금

2년 후에는 1,200만원의 만기 공제금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경력 형성 기회

최소 2년 동안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며 실질적인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미래설계 기반 마련

본인이 납입한 금액 대비 3배 이상을 수령하여 미래를 계획하는 데 기반을 제공합니다.

내일채움공제

만기 이후,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재가입 또는 연장 가입이 가능하며, 장기적인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3~5년간]

 

기업 적립금 혜택 요약:

가입 대상은 건설업 및 제조업 중소기업으로, 정규직 채용일 기준으로 직전 3개월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수가 5인 이상 50인 미만인 기업입니다.

납입금액은 최초 20개월간 월 16만원을 납입하고, 이후 4개월간 월 20만원을 납입하여 2년 동안 총 400만원을 적립합니다.

중소기업 일자리평가 도입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정책자금, R&D, 수출 등 51개의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인력난으로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은 내일채움공제를 통해 우수 인력을 고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공제부금 납입체계

 

신청방법

참여신청

내일체움공제의 온라인 신청을 통해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인턴

 

www.work.go.kr

가입신청

내일채움공제의 온라인 신청을 통해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bcplan.or.kr/

 

www.sbcplan.or.kr

문의

• 청년내일채움공제(1350)




 

중도해지 하면 어떻게 되나요?

취소

공제 계약이 성립된 후 1개월 이내에 특정 사유가 발생하면, 의사표시를 통해 계약을 소멸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소멸된 계약으로 인해 청년공제의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기업사유

  • 휴업폐업
  • 부도
  • 해산
  • 휴직
  • 권고사직
  • 고용보험료 체납
  • 부당대우
  • 직장 내 괴롭힘
  • 직장 내 성희롱
  • 6회차 이상 기업부담금 미납
  • 3개월 이상 연속하여 임금 체불되거나 퇴사일 이전 6개월 이내 1개월분 임금 전액이 1개월을 초과하여 체불된 경우
  • 정부지원금 지급일로부터 6개월 이상 지원금 신청 지연 또는 운영 상황 점검표[기업용] 미제출
  • 부정수급
  • 기타 기업 사정으로 공제를 중단 된 경우

 

청년사유

  1. 창업
  2. 이직
  3. 학업
  4. 기타 사유 퇴직
  5. 배임,횡령 등 불법행위에 따른 해고
  6. 6회차 이상 자기부담금을 미납
  7. 만기일로부터 3개월을 초과하여 자기부담금 미납하는 경우
  8. 부정수급
  9. 기타 청년 사정으로 공제를 중단하게 된 경우[가입기간 중 사업자등록, 자산형성사업 참여 등]
  10. 청년의 사망시
  11. 업무상 재해로 퇴사한 경우

 

소멸절차(청년,기업)

  1. 사유 발생후
  2. 청년 또는 기업이 중도해지 등 신청합니다
  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신청 사실을 검토하고 고용센터에 통보합니다
  4. 고용센터가 지원금 지급을 보류합니다

 

환급금 안내


사유
가입기간 1월 이상
6월 미만
6월 이상
12월 미만
12월 이상
18월 미만
18월 이상
24월 미만
2년 이상 가입
5회차 미적립
공제부금
적립 차수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5회차
적립
금액
청년지원 30 35 35 50 50
기업지원 30 35 35 50 50
누적 60 130 200 300 400
환급액 30 65 200 300 300
청년
근로자
사유
가입기간 1월 이상
6월 미만
6월 이상
12월 미만
12월 이상
18월 미만
18월 이상
24월 미만
2년 이상 가입
5회차 미적립
공제부금
적립 차수
1차 2차 3차 4차 5차
적립
금액
청년지원 30 35 35 50 50
기업지원 30 35 35 50 50
누적 60 130 200 300 400
환급액 - - 100 150 200

 

 

만기시 지급절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공제금 만기지급 대상이 되는 청년에게 SMS 등을 통해 안내를 제공합니다. 

그 후, 청년은 청약홈페이지에서 지급 신청을 진행하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청년의 계좌로 만기금을 7일 이내에 지급합니다.

 

상담문의번호 : 1350